신화의 공백, 또는 허위의 진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6 01:18
본문
Download : 신화의 공백, 또는 허위의 진실.hwp
그 공백은 단순한 실수나 부주의가 아니라 “우리는 그 부…(생략(省略))
다.남아프리카 아마줄루 족의 ‘웅쿨웅쿨루(Unkulunkulu) 이야기’는 짧은 텍스트 안에 ‘최초의 인간’ 이야기와 인간계에 죽음이 있게 된 이야... , 신화의 공백, 또는 허위의 진실기타레포트 ,
설명
신화의 공백, 또는 허위의 진실
순서
,기타,레포트
Download : 신화의 공백, 또는 허위의 진실.hwp( 87 )






레포트/기타
남아프리카 아마줄루 족의 ‘웅쿨웅쿨루(Unkulunkulu) 이야기’는 짧은 텍스트 안에 ‘최초의 인간’ 이야기와 인간계에 죽음이 있게 된 이야...
남아프리카 아마줄루 족의 ‘웅쿨웅쿨루(Unkulunkulu) 이야기’는 짧은 텍스트 안에 ‘최초의 인간’ 이야기와 인간계에 죽음이 있게 된 이야기를 동시에 담고 있는 흥미로운 기원신화이다. 이 말하지 않는 부분은 무의미하지 않다.” 서술시제가 현재형으로 되어 있다는 사실은 이 진술이 아마줄루 신화의 원 텍스트 내용이 아니라 구전 서술자가 보탠 추가적 진술임을 말해준다. 1884년 채록되어 문자로 정착된 이 짧은 텍스트가 기Cause 간에 대해 말하는 부분은 불과 석 줄에 불과하다. 그리고 이어 나오는 진술은 마치 누군가의 질문에 답하듯(어쩌면 채록자는 “그에게 아내는 없었는가?”고 물었을지도 모른다) 현재형으로 되어 있고 내용은 이러하다. 모든 신화는 이 종류의 ‘정보의 공백’을 갖고 있따 신화는 말하는 부분과 말하지 않는 부분으로 엮어진 겹 텍스트이다. 그 아내의 자리는 공백으로 남아 있따 그것이 공백이므로 우리는 (그리고 현재의 아마줄루 족은) 기Cause 간 웅쿨웅쿨루의 여자에 관련되어는 어떤 정보도 가질 수 없다. 조상들은 웅쿨웅쿨루에게 아내가 있었다는 말은 한 바 없다. 웅쿨웅쿨루는 갈대를 꺾어 여러 민족을 만들었다고 한다.” 현재의 아마줄루 족이 웅쿨웅쿨루의 아내를 모르는 까닭은 조상들이 그 부분을 말해준 적이 없기 때문일것이다 그러므로 이 신화의 원 텍스트에는 기Cause 간 웅쿨웅쿨루의 아내만이 아니라 도대체 ‘아내(여자)’라는 말 자체도 없었을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우리는 그의 아내를 모른다. “우리는 그의 아내를 모른다”라는 현재 서술은 “웅쿨웅쿨루에게 아내는 없었는가? 그는 어떻게 번식했는가?”라는 질문이 외부로부터, 또는 후대 서술자들 스스로의 합리적 의문으로부터 제기된 이후의 첨가물이라 볼 수 있따
이 신화는 기Cause 간 웅쿨웅쿨루에 대해 말하면서 그의 아내에 관해서는 말하지 않는다. 첫 진술은 “최초의 인간은 웅쿨웅쿨루였다”라는 단 한 줄의 과거형 서술이다. “우리는 그의 아내를 모른다.